안녕하세요. 해파입니다.
금 시세가 최근 많이 올라서, 자연스럽게 은에 관심을 가지게 되었는데요.
금 차트를 보고 너무 많이 올라서 깜짝 놀랐습니다. 진작에 금 투자를 시작하지 못한 것에 굉장히 아쉬움이 생기더군요.
금 시세는 역대 최고가를 4월에 찍고, 지금도 거의 그 최고치에 근접해 있습니다.
제 오래전 기억엔 금이 오르면 은도 같이 올랐던 기억이 있는데요.
그래서 은차트도 찾아보았습니다. 최고가를 보기 위해 10년 차트로 조회해 보았습니다.
은은 생각만큼 오르지 못한 모습이네요. 최근 살짝 꼬리를 올린 모습이 상승 초입처럼 보이기도 합니다.
은에 관심을 가지던 찰나에, 한 현인이 저에게 좋은 조언을 해 주셨습니다.
아래 현인의 말투 (반말?)로 남기니, 같이 보시고 좋은 의견이든, 찬성이든, 반대 의견이든 댓글 주시면 제 공부와 투자에 큰 도움이 될 거 같습니다. ^^
금과 은은 화폐의 속성을 가지는 실물 자산이다. 특히 금이 화폐 속성에 제일 가깝다.
은은 과거 대비 산업 수용 증가로 인해 산업재의 성격으로 바뀌어 가고 있다.
금과 은은 대체적으로 비슷한 움직임을 보이는 경향이 있다. 은은 산업 경기 동향에 따라 더 탄력적으로 움직인다.
따라서, 구리의 가격변화를 같이 보면서 은 구매 결정을 하기를 권장한다.
보통 실물을 구매할때 나가는 부가세 및 거래세 등을 생각한다면,
초장기로 끌고 갈 것이 아니면, 실물 거래는 거래 비용이 너무 들기에 투자가치가 떨어진다.
그러므로, ETF 투자를 하는 게 차라리 좋다. 매매차익에 대한 배당소득세가 나오기는 하는데 실물거래보다는 비용이 적게 든다. 투자에 있어서 미래 수익률도 중요하지만 비용 (세금, 수수료) 도 매우 중요하다.
코로나가 종식되면 금값은 본격적인 상승을 할 가능성이 높다.
보통 시장이 인플레이션 국면에서 금값이 상승을 강하게 한다. 물가 상승은 반대로 이야기하면 화폐가치 하락을 말한다.
현재 연중에서 미친 듯이 돈을 풀고 있음에도 강달러 현상이 나오고 있는데 이것은 실물경제 위기에 따른 기업들이 신용 경색 우려로, 현금 확보를 하고 있기 때문이다. 즉, 자산을 파고 현금을 쥐고 있어 달러 가치가 상승하고 있다.
코로나가 종식되고 경제가 안정되면 기업들은 달러를 확보할 필요가 줄어들고, 기업들은 들고 있던 현금을 투자를 하든, 다른 자산을 구매를 하든, 시장에 유통시키게 된다.
즉, 왕창 풀린 달러가 시장에 본격적으로 흘러 들어가면 달러 가치는 폭락을 하게 될 수 있다.
시장에 돈이 갑자기 풀리면 실물자산 및 제품의 가격이 급등하기에 인플레이션이 강하게 생기는데, 이때 달러가치가 대폭 폭락하면서 달러 가치 폭락을 대응하기 위해 금과 같은 대체 화폐 수요가 폭증하게 된다.
"코로나 종식 - 달러 가치 하락 - 물가상승 (인플레이션) - 금값 상승"
이때부터 금가격은 본격적인 대세 상승이다!
하지만 변수도 있다. 이런 인플레이션 국면 즉 달러 인덱스 추락 흐름이 나오면 금값은 상승할 수 있으나, 미국이 주변 국가 (미국과 경재을 하는)보다 성장률이 좋다면, 글로벌 자금들이 미국 자산을 취득하기 위해 달러를 사면서, 달러가 강달러로 계속 유지될 수도 있다. 이럴 때는 금 가격도 대세 상승보다는 약상승 정도를 보일 수 있다.
하지만 큰 흐름에서는 어찌 됐건 달러 가치는 하락할 것이다.
현인의 조언이 금 투자와 은 투자를 고민하고 있는 저에게 큰 영향을 줄 거 같습니다.
특히, 확실한 FACT는 연중에서 돈을 엄청나게 찍어대고 있다는 것입니다.
이러한 이유로 개인적인 생각은, 부동산의 하락도 크게 오기 어렵다고 생각됩니다.
금도 은도 마찬가지로 상승 가능성이 커 보이고요. (절대적으로 개인 의견이 참고만 해주세요. 저 같은 소인이 매크로를 어떻게 알겠습니까 ^^).
전 금보다는 은이 조금 더 매력적으로 보이네요. 차트상 오른 폭이 너무 작기도 하고,
코로나가 수그러들고 종식되게 되면, 지금 가격보다 하락할 확률보다는 상승할 확률이 더 커 보이네요.
심각하게 투자를 고민해 보려 합니다. 조금 더 공부를 집중해서 해 봐야겠네요.
'주식 Step Up'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가장 위험한 투자 (1) | 2020.05.27 |
---|---|
뮤직카우 (구 뮤지코인) 실제 투자 후기 (0) | 2020.05.26 |
삼성전자로 배당금 월 100만원 만들기 (feat. 돈이 필요해) (1) | 2020.05.14 |
삼성전자 PER, PBR, BPS 어디서 확인할까? PER, PBR, BPS 가 무엇일까? (0) | 2020.05.10 |
키움증권 해외주식 위험고지 등록 방법 (0) | 2020.05.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