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전자 PBR, BPS 어디서 확인할까? PER, PBR, BPS가 무엇일까?
요즘 삼성전자에 관심을 가지는 분들이 제법 많아진 느낌입니다. 어려울수록 믿을 건 1 등주.
어려울수록 믿을 건 삼성전자다! 이런 심리일 거 같습니다.
삼성전자의 기본적인 정보, 예를 들어 PER, BPS, PBR 은 어디서 볼 수 있을까요?
아주 간단히 찾아볼 수 있겠더라고요.
네이버 -> 삼성전자 검색 -> 삼성전자를 클릭하면 네이버 금융 페이지의 삼성전자가 나옵니다.
스크롤을 쭈욱 내리다 보면 아래와 같은 화면이 나오고, 여기에 BPS, PBR을 포함한 기본적인 정보가 나옵니다.
삼성전자의 2019년 12월 PER 17.63배, BPS 37,528원, PBR 1.49배이네요. 2020년 12월은 예상치입니다.
이야기 시작한 김에, PER, PBR, BPS의 개념을 잠깐 적어 보겠습니다.
일단 주식의 주가는 아래와 같이 간단히 이야기될 수 있습니다.
BPS는 1주당 순자산인데요. 2019년 12월 BPS가 37,528원이라는 것은 1주당 37,528원의 순자산 가치를 가진다라는 의미입니다.
PBR은 순자산 대비 몇 배로 팔렸는가? 를 의미합니다. 예를 들어 순자산 37,528원 대비 55,916원에 주식 1주가 거래됐으면 PBR은 약 1.4배가 됩니다.
더 쉽게 이야기하면, PBR 2은 순자산 대비 2배로 팔린 것을 의미하는 것이죠.
PER 이 20이라 하면, '1원의 순이익을 얻기 위해 20배인 20원을 지불할 의향이 있다.'라는 의미가 됩니다.
그렇다면 PER이 높으니 좋다!라고 무조건 적으로 이해하긴 어렵습니다. 때로는, 회사의 수익성 개선은 없는데, 시장 열기가 뜨거워 고평가 된 수치일 수 있습니다.
BPS, PBR, PER은 절대 지표가 되기보다는 참고적인 수치로 이해하고, 그보다 이 수치들의 매년 어떻게 변화해 가는지,
꾸준히 상승하는지, 아니면 상승하다가 감소하는지, 이런 흐름을 이해하는 것이 중요할 거 같습니다.
네이버에서 검색한 삼성전자의 기업실적표에 따르면, 삼성전자는 확실히 2020년의 PER, PBR은 감소되는군요. 하지만 BPS는 증가된다는 예측인데요. 그렇다면 BPS가 매년 몇 % 성장을 보였는지 알아보겠습니다. 안 해도 되는데, 쓰다 보니 궁금해서 해봤습니다.
2017년 대비 2018년 BPS 성장률 = 35,342 / 30,427 = 16% 상승.
2018년 대비 2019년 BPS 성장률 = 37,528 / 35,342 = 6.1% 상승.
2019년 대비 2020년 BPS 성장률 (예상치) = 39,885 / 37,528 = 6.2% 상승.
최근 BPS 수치는 매년 상승을 해주고 있는 삼성전자, 하지만 6% 의 상승으로 만족하기엔 1 등주로서는 약간 아쉬움이 있을 수도 있는 수치는 아닌가 싶습니다.
하지만 최근 Untacted 산업이 각광받을 것을 예상하면서 삼성전자의 반도체 수요도 많이 늘어나지 않을까 싶은데요.
2020년 의 예상치도 이를 반영한 수치긴 하겠지요. 하지만 이 예상을 뛰어넘는 한 해가 되었으면 합니다.
삼성전자 주주로서 부디 제발 그러기를 바라보며 글을 마쳐 봅니다.
'주식 Step Up'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금투자, 은투자 - 지금 사야 할 때? (feat. 고수현인) (0) | 2020.05.18 |
---|---|
삼성전자로 배당금 월 100만원 만들기 (feat. 돈이 필요해) (1) | 2020.05.14 |
키움증권 해외주식 위험고지 등록 방법 (0) | 2020.05.09 |
주식 양도소득세? 거래비용은? (0) | 2020.05.08 |
배당투자의 마인드 (0) | 2020.05.07 |